HTML
(HTML JAVASCRIPT CSS교재를 활용하였습니다~)
HTML 문서의 기본 정보
<head>와 </head> 태그
HTML 문서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head> 태그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title>태그와 함께 사용합니다
<title>과 </title> 태그
헤드 태그 사이에 위치하는 태그로서 실제적으로 HTML 문서의 제목을 입력하는 태그입니다.
기본형식
<head> <title> 이 부분이 제목입니다 </title> </head> |
<meta>태크
<meta> 태그는 타이틀 태그와 마찬가지로 헤드 태그 사이에 위치하는 태그로서 <meta>태그를 이용해 홈페이지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록하게 되면 웹 페이지 상에 그 내용이 표시되진 않지만 주요 검색엔진에서 웹페이지를 검색할 때 <meta>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검색하게 됩니다.
-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charset=euc-kr">
웹페이지에 출력되는 한글 폰트를 지정합니다. 간혹 홈페이지에서 특히 한글이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는 것은 한글 폰트를 지정하는 meta태그가 없기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meta name="keywords" content="문자열">
각종 검색엔진 사이트에서 검색로봇을 통해 웹페이지를 검색할 때 홈페이지 전체의 내용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이 키워드의 내용을 검색하게 됩니다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홈페이지 설명">
Description은 홈페이지를 홍보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며 키워드가 단어를 사용해 검색 가능하도록 한것이라면 description은 문장을 통해 홈페이지의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됩니다
-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시간, url=이동할 홈페이지의 주소">
홈페이지의 주소변경이나 다른 어떠한 이유로 현재의 홈페이지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목적이 있을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시간에 숫자를 적어주게 되면 그 숫자만큼 초가 지난 뒤에 url에 적은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 <meta name="author" content="홈페이지 제작자 이름">
홈페이지 제작자의 이름을 적어둘 수 있습니다
- <base href="기준이 되는 url">
<a>태그를 사용해 같은 홈페이지 내의 다른 페이지로 링크하게 될 때 <base href>를 사용하여 기준이 되는 url을 기록해 두면 <a>태그에서 상대주소로 링크를 해도 절대 주소와 같이 인식하게 됩니다
<br>태그
br태그는 줄바꿈 태그로서 비슷한 <p>태그 명령과 다른 점은 한 문장을 끝내고 다음 문장을 시작할 때 줄만 바꾸고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한글이나 워드, 메모장과 같은 편집기에서 엔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따로 종료 태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e></pre>태그
Preformatted text의 약어이며 이 태그 내에 입력된 문자들은 어떤 문자라도 입력할 때의 내용 그대로 출력됩니다.
<nobr>과 </nobr>태그
No breading의 약어로서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달라져도 줄을 바꾸지 못하게 합니다
<pre>태그에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div>태그
div태그는 p태그와 마찬가지로 문단을 구별하는 태그로서 p태그와 다른점은 div태그는 p태그로 나누어진 문단을 하나의 묶음 형태로 정렬할 수 있고 p태그는 사용한 위치에 한 줄의 공백이 생기지만 공백이 생기지 않는 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div 태그와 p태그의 차이점</title> </head>
<body> 1월 1일은 설날입니다 <p align="center">4년마다 한번씩 돌아오는 윤년에는<br />2월 29일까지 있습니다</p>
3월 1일은 삼일절입니다. 그러면 4월에는 어떤 기념일이 있을까요? <div align="center">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br /> 우리모두 나무를 많이 심읍시다<p/> 5월에는 행사가 아주 많습니다<br /> 5월 5일은 어린이 날이고, 5월 8일은 어버이 날입니다<br /> 그리고 5월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div> 그 외에도 5월에는 크고 작은 행사가 많습니다. </body> </html> |
결과를 살펴보면 p태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공백이 생겨져 있고 div태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공백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center>태그
center태그는 <center> </center> 내의 문장이나 그림 등을 웹 브라우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출력을 도와줍니다 만일 웹 브라우저의 크기에 변동이 있다면 변하는 크기에 맞추어서 중앙에 정렬해 주도록 도와줍니다
<hr>태그
hr태그는 웹 브라우저에 수평선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속성에 따라서 수평선의 색상과 굵기, 길이 등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 | 설명 |
Align | -수평선의 정렬위치를 지정합니다 -지정해 주지 않으면 default로 왼쪽을 정렬합니다 |
Clolor | -수평선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
width | -수평선의 길이를 지정합니다 -픽셀 값이나 퍼센트를 사용해 지정가능합니다 |
size | -수평선의 굵기를 지정합니다 -픽셀 값이나 퍼센트를 사용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
noshade | <hr>태그 내에 noshade속성을 삽입하면 입체감이 없어진 수평선이 출력됩니다 |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HR태그 사용법입니다</title> </head>
<body> 1. 가장 기본이 되는 수평선<br /> <hr /><br /> 2. 색상은 green, 길이는 브라우저의 30%, 왼쪽 정렬하는 수평선<br /> <hr color="green" width="30%" align="left" /><br /> 3. 색상은 blue, 길이는 200픽셀, 굵기는 5픽셀로 하는 수평선<br /> <hr color="blue" width="200" size="5" /><br /> 4. 길이는 150픽셀 굵기는 10픽셀, 가운데 정렬 수평선<br /> <hr width="150" size="10" align="center" /><br /> 5. 길이는 150픽셀, 굵기는 10픽셀, 가운데 정렬하고 입체감을 없앤 수평선<br /> <hr width="150" size="10" align="center" noshade /><p> </body> </html> |
실행결과입니다
2.2 주석 달기
문서를 작성한 후, 나중에 이 문서를 다시 고치고자 한다면 html 문서에 대해 또는 각 태그에 대해 메뉴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인지,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태그인지 등에 대한 설명을 잘 붙여놓아야 이해하게 쉬워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석문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주석문 사용법입니다</title> </head>
<body> 주석문 사용법을 익혀 봅시다 <!-- 주석문입니다 이 부분은 웹브라우저에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 </body> </html> |
2.3 문자 삽입
<hn>태그
hn태그는 글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태그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다음 형식에서 n의 위치에 1 ~ 6까지의 숫자를 넣어서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번호가 커질수록 글자의 크기는 작아져서 출력된다
기본 형식 : <hn align="정력"> 출력할 문자열 </hn>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hn 태그의 사용법</title> </head>
<body> <h1>n=1인 경우의 문자의 크기</h1> <h5 align="center"> n=5인 문자 + 중앙정렬 </h5>
</body> </html> |
<hn>태그는 나중에 나올 굵은 글자로 출력하도록 하는 별도의 태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굵은 글자로 자동으로 출력된다. 주로 단락의 제목을 출력하는데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hn>태그는 줄 바꿈 태그를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 줄 바꿈을 한다.
기본형식
<font size="n" color="#색상값" face="서체"> 인쇄될 문자열 </font> |
속성 | 설명 |
size | -글자의 크기를 지정해 줍니다. N의 자리에 1~7까지의 숫자를 넣어서 지정해주는데 숫자가 커질수록 인쇄되는 글자의 크기는 커지게 됩니다. |
color | -색상명이나 RGB색상 값을 넣어서 색상을 지정해 줍니다 |
face | -인쇄될 글자의 서체, 즉 글꼴을 지정해 줍니다 |
2.4 서식 태그
HTML문서를 작성함에 있어 여러가지 폰트에 기능들을 더해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위해서 HTML에서는 여러가지 글자체를 설정하는 서식 태그를 마련해 놓았습니다. 다음은 이런 태그들과 그에 대한 설명을 표로 요약 하였습니다
글자체 | 태그 명령 | 설명 |
이탤릭체 | <i> </i> <cite></cite> <em></em> <var></var> | 이탤릭 체로 출력됩니다 |
타자기체 | <kbd></kbd> <code></code> <tt></tt> | 타자기 체로 출력됩니다 |
굵은체 | <strong></strong> <b></b> | 글자를 굵게 출력합니다 |
밑줄 그은 글자 | <u></u> | 글자에 밑줄을 그어 출력합니다 |
조금 크기 | <big></big> | 지정된 글자 크기보다 조금 크게 출력합니다 |
조금 작게 | <small></small> | 지정된 글자 크기보다 조금 작게 출력합니다 |
아래 첨자 | <sub></sub> | 지정된 글자를 아래 첨자로 만듭니다 |
위 첨자 | <sup></sup> | 지정된 글자를 위 첨자로 만듭니다 |
깜빡이는 글자 | 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깜빡이며 출력되게 합니다 이 태그는 넷스케이프에서만 지원됩니다 | |
수평 줄긋기 | 지정된 글자 상에 취소선을 긋습니다 |
2.5 특수 문자의 삽입
html문서를 작성할 때 혹은 키보드로는 입력할 수 없는 특수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미리 지정해 놓은 예약어를 사용해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 <,> 등 몇몇의 문자는 키보드에 있지만 html에서 특수문자로 취급되는데, 그것은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실행할 때 &, <, >는 특수문자의 시작이나 태그의 시작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자를 삽입할 때 예약어로 대신 입력해야 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 문자 | 예약어 |
< | < |
> | > |
& | & |
" | " |
SPACE | |
기본적으로 HTML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무궁무진한 HTML의 세계에 발을 디디기 위해선 기초 초석이 중요하겠죠 ~?? 모두들 열심히 하셔서 대박나시길 바랍니다
'프로그래밍언어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이야기] HTML5 지원여부 감지 (4) | 2011.01.04 |
---|---|
[동영상강의]제로보드 설치하기 (0) | 2011.01.04 |
HTML강좌- 티스토리 skin.html 로 쉽고 재미있게 파헤쳐보기 (0) | 2011.01.03 |
쉬운HTML - 첫번째 맛보기 (0) | 2011.01.03 |
HTML5이야기- HTML 은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했을까? (0) | 201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