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VMware을 사용했을 땐 메인OS와 가상OS간에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파일이 옮겨졌습니다.
지금은 무슨 이유인진 잘 모르겠지만 잘 되질 않았습니다.
하여 각 OS 간에 공유 지점을 만들어서 파일 유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FTP server를 유동적이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이번엔 VMwareTools 기능을 이용해 메인(Windows 8.1 Pro K x64)OS와 가상(Windows Server 2012 R2 Data Center)OS 사이의 공유 폴더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CPU |
RAM |
GPU |
OS |
AMD FX(tm)-4100 |
8.00GB |
|
Windows 8.1 Pro K x64 |
구성 환경 및 필요 도구
- Windows 8.1 Pro K x64 [메인OS]
- VMware Workstation 10.0.7
- Windows Server 2012 R2 DataCenter [가상OS]
먼저 Windows 환경의 가상 OS는 실행 중인 상태에선 설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상 OS는 끈 상태로 진행합니다.
VMware Workstation의 상단 탭 중 VM을 누른 후 'Settings...'을 누릅니다.
Options를 누른 후 Shared Folders를 누른 후 'Always enabled'를 체크
*'Enabled until...' 항목은 일회성 옵션입니다.
'Add'를 눌러 공유하고 싶은 폴더 위치를 지정하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Enable this share' 체크
*필요에 따라 'Read-only' 체크
잘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Guest Isolation'은 드래그 앤 드롭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주는 설정입니다.
두 가지 항목을 체크한 후 OK를 눌러줍니다.이 설정은 제 컴퓨터 같은 경우는 되질 않았습니다.
server환경이라 지원을 하지 않나 싶기도 한데, 정확하진 않습니다... 원인 불명
설정이 완료 된 후 가상OS를 켭니다.
다 켜진 후 상단의 탭 중 VM을 누른 후 'Install VMware Tools...'를 클릭합니다.
자동으로 가상 드라이브가 마운트됩니다.
간단한 설치 프로그램이기에 그대로 설치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네트워크 위치에 메인OS와 연결 된 공유 폴더가 생성됩니다.
공유도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인제대학교 의용공학부 네트워크 팀 '11 신윤호가 작성하였습니다.
'윈도우 > 윈도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T] 배치파일 명령어 알아보기 1 (0) | 2016.05.13 |
---|---|
[vmware] 포트포워딩 (0) | 2016.05.12 |
[기타] 배치파일 알아보기 (0) | 2016.05.02 |
해킹과 정보유출에서 여러분의 웹사이트를 보호하십시오! (0) | 2011.06.28 |
WebKnight(웹나이트)설치하기![Windows 서버 보안] (0) | 201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