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포트포워딩입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CPU |
RAM |
GPU |
OS |
AMD FX(tm)-4100 Virtual divided |
8.00GB
|
|
Windows 8.1 Pro K x64
|
이용 도구
- VMware Workstation 10.0.7
VMware Workstation의 상단 탭 'Edit'를 누른 후 'Virtual Network Editor...'를 클릭합니다.
설정 화면이 뜨는데 저의 가상 OS는 VMnet8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하는 가상 드라이브를 선택하여서 'NAT Setting...'를 클릭합니다.
NAT Settings 화면에서 Add를 누른 후 추가하고 싶은 포트와 연결 할 가상 OS IP 및 연결 시켜 줄 포트를 적은 후 OK를 누릅니다.
추가 할 내용을 다 추가한 후 OK를 누르고 나옵니다.
이제 외부 IP로도 가상 OS에 있는 서버들이 접속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amba 같은 경우엔 외부에서 접속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을 따로 등록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가상 OS에 있는 samba 폴더로 접근하지 않고 다르게 등록 된 메인 OS의 공유 폴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인제대학교 의용공학부 네트워크 팀 '11 신윤호가 작성하였습니다.
'윈도우 > 윈도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T] 배치파일 명령어 알아보기 2 (0) | 2016.05.30 |
---|---|
[BAT] 배치파일 명령어 알아보기 1 (0) | 2016.05.13 |
[vmware] 공유폴더 만들기 (0) | 2016.05.11 |
[기타] 배치파일 알아보기 (0) | 2016.05.02 |
해킹과 정보유출에서 여러분의 웹사이트를 보호하십시오! (0) | 201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