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news/hot IT issue 썸네일형 리스트형 '타이젠 3.0' 9월 중 발표 삼성전자가 웨어러블 주력 OS 및 중동 스마트폰 시장을 휩쓸고 있는 타이젠 OS의 메이저 업데이트를 9월 중 실시할 예정이라고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2016'에서 밝혔다고 합니다. 이번 메이저 업데이트는 '타이젠 2.4' -> '타이젠 3.0'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이며, 기존 x86 프로세서 이외의 x64 및 새로운 ARM, 그래픽 API(불칸) 지원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는 9월에 개최될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IFA 2016'에서 공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통해 타이젠이 발전해온 과정을 살펴본 바 있는데, 지금까지는 안드로이드와 IOS를 쫒아가는 업데이트였다면 이번 업데이트는 대등한 위치까지 올라가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까 싶은, 무척 기대되는 업데이트입니다. '타이젠 3.0'의 .. 더보기 개발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툴 best 5 (각 부문별) 개발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툴은 무엇일까요? 개발자용 툴 관련 컨설팅을 하는 BestVendor사가 세계의 개발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직원 100명 이하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에 근무하는 개발자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각 부문별 인기 툴 best 5 는 다음과 같다. 저장공간 1위 Dropbox、2위 Crashplan、3위 Box.net、4위 Jungle Disk、5위 SpinderOak 텍스트 에디터 1위 Text Mate, 2위 Notepad++、3위 Vim、4위 Coda、5위 TextWrangler 웹사이트 해석 1위 Google Analytics、2위 Mixpanel、3위 Pingdom、4위 KISSmetrics.. 더보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술의 핵심 가상화 WMw웨어에서 주최하는 세미나를 다녀온 후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가상화를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세미나때 이해가 되지않았던 부분과 새로 알게된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우선 가상화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클라우드(Cloud)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구조, 즉 인터넷을 말합니다. 즉, 클라우드(Cloud)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IT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말합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 더보기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제4의 불, 사람이 곧 플랫폼이다 우리 삶을 또 한번 변화시킬 제4의 불은 무엇일까요? 저는 ‘휴먼 에너지’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환경이 과거 데이터 중심에서 인간 중심 네트워크로 진화(웹 2.0)하며, 인간의 내재적 에너지와 가치를 최대한 끌어내 폭발적인 사회적 현상과 기억을 만들어내고 있는 예를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페이스북(Facebook)과 트위터(Twitter)로 대변되는 소셜 웹(Social Web) 인프라입니다. 제4의 불인 휴먼에너지가 활활 타오를 수 있는 장작과 불꽃을 끊임없이 공급하면서 사회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지요. 웹 2.0의 근본에는 사람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Wikipedia), 오픈소스(Open Source), 트위터 (Twitter).. 더보기 IT 미래 결정할 10가지 기술 IT 미래 결정할 10가지 기술 IT 소비재화부터 인프라 컨버전스에 이르기까지 기업 IT의 미래에 영향을 끼칠만한 거대한 변화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등장하여 IT 전략을 수립하고 잇으며, 앞으로 어떤 기술이 기업 IT 부서의 미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장기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칠 10가지 기술을 정리해 봤습니다. 10. HTML5 World Wide Web 초창기부터 웹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서 태그(Tag)를 조합했으며, HTML5는 단순히 새로운 것들을 추가했습니다. HTML5가 HTML과 유사해 보이기는 하지만 이것을 이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의 수준은 완전히 다릅니다. 로컬 데이터 스토리지, 'canvas', 'video' 등을 이용하면 단어와 이미.. 더보기 구글 모토로라 인수! 거대 공룡 구글이 사고를 쳤습니다.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 더 이상 안드로이드 OS 개발만 하는 것이 아닌 하드웨어 제조까지 공격적으로 나갈 의사를 밝혔습니다. 애플의 기존 강점이 그들만의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그들만의 OS (통칭 iOS) 였기에, 이번 구글의 결단은 아마 큰 파장을 불러올지도 모르겠습니다. 현재 마이크로 소프트사도 윈도우폰을 하드웨어 6개 회사에서 제작을 하게 되었는데, 이번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로 인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바람이 불리라 조심스레 생각도 드네요. 안드로이드에 걸려있는 특허소송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만큼 특허를 확보하는 것도 역시 지켜봐야할 부분 같습니다. 모토로라 모빌리티는 13조 5천 125억원에 인수를 할 예정이며, 현재는 스마트폰으로 인해 입지가 좁아졌.. 더보기 유튜브 세계 사용량 1위 한국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시는 Youtube 의 사용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곳이 어디라고 생각하시나요? 바로 '한국'입니다!! 땅이 작아서...인지 아무래도 인터넷망과 인터넷보급률로써는 최고라고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 유튜브 사용량이 1위가 된 것에는 어쩌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있는 스마트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유튜브 모바일 사이트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 조회수는 일일 2억건 이상이다. 이는 지난해 9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유튜브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65% 이상이 주 1회 이상 모바일로 동영상을 시청한다며 모바일 광고 서비스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일일 2억건을 클릭하는데 그 곳에 들어가는 '광고'의 수입은 얼마나 할까요...^^? 배너 형태로 노출되는 ‘로드블록(일고정광고)’.. 더보기 구글, SNS시장 페이스북과 전면전 츌처 :http://www.mnworld.co.kr/1187 구글에서도 구글톡등을 사용하여 많은 부분 SNS서비스를 하려고 했지만 외면을 받아왔는데, 이번 구글+ 를 통해 웹 SNS시장의 페이스북과 전면전을 하게 됩니다. 구글+ 는 친구 등 지인이 보낸 사진, 메시지 등 초대로 관계를 맺는 형태의 웹 SNS인데, 모든 프로젝트 중 가장 구글에서 우위에 두고 처리를 했다고 하네요. 편의를 높이기 위해 '구글+'에 지도와 이미지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페이스북과 차별화에 중점을 둔 부분은 개인정보 보호기능 강화와, 영상채팅, 그룹채팅, 스파크 등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구글버즈 이후 '구글서클'이라는 SNS이 나올것이라 예측했지만, 구글서클보다 조금 더 큰 개념인 '구글+'가 나온다고 하네요. '구.. 더보기 iOS5 Beta 버전 공개 출처 : ZDNET(zdnet.co.kr) 애플 모바일 운영체제 iOS5 베타2 버전이 개발자들에게 공개됐고 매킨토시(이하 '맥')용 OS X 10.6.8 버전 패치가 나왔다. 개발자들이 올가을 등장할 iOS5 신기능에 미리 대응하고 잠재적인 버그를 고치도록 하기 위해서다. 미국 씨넷 등 외신들은 지난 24일 애플이 2번째 개발자용 iOS5 베타판을 배포했으며 하루 앞선 23일 맥OS X '스노우 레퍼드(Snow Leopard)용 10.6.8 버전 업데이트도 선보였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iOS 5 정식판을 오는 가을께 공개할 계획이다. 미국 씨넷 블로거 조시 로웬슨은 "애플은 일반적으로 iOS 5 등 주요 소프트웨어 완성판 공개를 앞두고 수차례 베타 버전을 개발자들에게 배포한다"며 "그들에게 새로운 애플.. 더보기 구글은 더 사악해질 필요가있다 대뜸 구글은 더 사악해지란 제목에 놀라셨나요? 이번 4. 6일 '에픽게임스'의 CEO 팀스위니의 이야기였습니다. 구글은 더 사악해져야 한다. 이 말속에서 참 많은 것을 느꼈는데요. 최근 아이폰, 아이패드 게임 중 화제가 되고 있는 '인피니티 블레이드'라는 게임을 아시나요? 언리얼 3엔진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기기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그래픽과 완성도를 자랑하고 있는 게임입니다. 그렇다면 왜 '구글'로 나오지 않았을까요? 답은 구글의 오픈정책 때문입니다. iOS 의 Apple 사의 경우에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모두를 폐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어, iOS에 맞는 앱같은 경우에는 만들고나면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OS이기에 따로 기기별, 혹은 버전별로 만들 필요가 엇습니다. 하지만 구글의 경우에는 통신사나 제조사에게..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