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news/hot IT issue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술의 핵심 가상화

 

WMw웨어에서 주최하는 세미나를 다녀온 후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가상화를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세미나때 이해가 되지않았던 부분과 새로 알게된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우선 가상화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Cloud)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구조, 즉 인터넷을 말합니다.

즉, 클라우드(Cloud)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IT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말합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구름과 같은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쓰고 이에 대한 사용요금을 지급하는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하는 거죠.

 

 

 

그림과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은 구름과 같은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쓰고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우리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E-mail, ATM기기, 항공기나 열차의 실시간 좌석 예약 시스템이 클라우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것이죠

그렇다면 가상화는 어떤 기술일까요?

우리가 흔히 '가상'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어떤 대상이 진짜가 아닌 가짜라는 의미로, 가짜와 진짜의 구분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통합의 측면을 강조합니다. IT업계에서 말하는 '가상화'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라는 물리적인 존재를 분할하고 통합해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물리적인 장비에서 논리적인 영역을분리해 냄으로써 컴퓨팅 자원을 기존의 복잡하게 얽힌 장치에서 해방시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하는 활용 및 관리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죠.

 

 

 

이렇게 가상화는 많은 기업, 학교, 병원등에서 사용중이고 점점 사용하는 추세가 늘고있는데요.

 

 

가상화의 장점을 정리하자면

우선, 하나의 서버에 여러 개의 가상화 서버를 올려서 더 높은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컴퓨팅 컴포넌트들을 설정 변화, 혹은 새로운 패치, 업그레이드 등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 측면의 변화에 관계 없이 역동적으로 결합하고 최상의 딜리버리 경험을 보장할 수 있도록 조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관리 효율이 증가하고 보안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물리적 인프라를 줄이고 서버 관리 비율을 높여 데이터 센터 비용을 절감하고, 단순히 서버에서만 가능한게 아니라 IT 인프라 전체에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상화는 크게 두 분류로 나뉩니다. 플랫폼 가상화와 리소스 가상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플랫폼 가상화

하드웨어랑 소프트웨어를 결합하는 가상 머신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Vmware, virtualbox, Virtual PC 등이 있습니다.

 

 

 

 

리소스 가상화

리소스의 집합, 측정, 연결의 구성요소를 더 큰 리소스나 리소스 더미로 결합하는 것으로 가상메모리, RAID와 논리볼륨관리, 저장 장치 가상화, 채널결합,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가상 주소 번역(NAT)등이 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적용분야와 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가상화

- 가장 일반적인 가상화 기술로 꼽히는 영역.
- 서버 가상화는 하나의 시스템 상에 각기 다른 운영체제의 다양한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즉,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를 여러 개의 나눠 다양한 운영체제를 구동.

VM웨어IBM,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썬 등이 서버 가상화와 관련된 솔루션을 제공.

 

 

스토리지 가상화

서서-- 서버 가상화와 함께 인프라 차원의 가상화를 의미
- 스토리지 시스템의 복잡성을 해결하면서 스토리지 통합을

지원하는 기술.

- 물리적인 저장 공간을 논리적인 저장 공간으로 재분배하여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과 용량 배분을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에

관계없이 할당하도록 지원.

<이점>

- 가용성과 관리 용이성이 향상
- 용량 대비 비용이나 I/O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

 

 

애플리케이션/데스크톱 가상화

애플리케이션

- 중앙의 서버가 모든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중앙의 데이터

센터에 따로 저장해 두고, 이를 이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스트

리밍 형태로 전달하는 것.

- 즉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위치는 서버가 되고, 사용자에게는

보여지는 부분만 전달되는 것

데스크톱

- 더 범위가 넓은 개념으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수준이 아라

운영체제 환경 자체를 서버에서 지원하는 형태.

- 데스크톱 가상화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웹2.0이 발전하면서

웹상에서 가상의 데스크톱 환경을 만들어주는 서비스들이

많이 생겨나고 발전하고 있다.

 

 

 

 

출저:http://minhaep.tistory.com/75